기타(8)
-
IntelliJ IDEA에서 GitHub Copilot 사용하기
요즘 개발할 때 AI 도구 하나쯤은 다들 사용하고 계시죠? 😀저희 회사도 최근에 GitHub Copilot을 도입해서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IntelliJ IDEA 환경에서 Copilot을 연동해 개발을 진행 중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GitHub Copilot이 어떤 도구인지,그리고 IntelliJ에서는 어떻게 설정하고 활용하면 개발이 더 편해지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GitHub Copilot이란? GitHub Copilot은 개발자가 코드를 작성할 때 AI가 실시간으로 코드를 추천해주는 도구입니다.OpenAI의 GPT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GitHub에서 개발한 서비스입니다. 주석을 작성하거나 함수 틀을 만들려고 하면 Copilot이 의도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코드를 완성해 줍니다. ..
2025.07.07 -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개발자가 만든 개발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해 주는 것이 바로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입니다.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는 기계어로 번역해 준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작동 방식이 다른데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컴파일러 소스 코드를 한번에 기계어로 번역하여 실행파일을 생성한다. 대표적인 언어로는 C, C++, JAVA 등이 있다. 장점 애플리케이션 실행 전 소스 코드 내 오류를 미리 검출 할 수 있음 소스 코드를 전체적으로 분석하고 번역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빠르며 한번 번역된 프로그램은 다시 컴파일하지 않고 실행이 가능 단점 번역 시간이 오래 걸림 기계어 번역 과정에서 많은 메모리를 사용 # 인터프리터 소스 코드를 한 줄씩 읽어들여 바로 실행한다. 대표적인 언어로는 Py..
2024.02.03 -
코딩컨벤션 작성하기
여러 명의 개발자들이 함께 협업할 때 코드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서로 다른 코딩 스타일은 유지보수를 어렵게 하고, 가독성을 떨어뜨리기때문이다. 따라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나만의 코딩 컨벤션을 작성하는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명확한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는 코드 스타일이 일관되지 않아 유지보수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은 나만의 간단한 코딩컨벤션을 구글 가이드 문서를 참고하여 작성해보려고한다. 코딩컨벤션 : 일관된 코딩 스타일과 가이드라인을 정의하여 코드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규약이다. 팀원들 간의 코드 일관성을 유지하고 코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 소스 파일 구조 소스 파일의 구조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1. 라이센스 또는 저작권 정보 2. Pac..
2023.12.22 -
DDD 설계 VS SQL 중심 설계
DDD(Domain Driven Design) 설계 개념 : DDD는 도메인기반 설계로 도메인 패턴을 중심에 놓고 설계하는 방식으로 복잡한 도메인을 다룰 때 효과적이다. 특징 DDD는 비즈니스 도메인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개발자와 비즈니스 전문가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해 질 수 있다. 지속적인 학습과 개선을 요구하며 비즈니스 요구사항 변경에 용이하다. 비즈니스 로직이 중심이 되기때문에 코드의 유지보수와 확장성이 높아짐 복잡한 도메인을 다루는 데 유용하지만, 단순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과도한 복잡성을 초래할 수 있다. 설계 초반에 들이는 시간,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도메인이란? : 비즈니스의 핵심과 관련된 문제의 영역 덩어리로 어떤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때, 그 시스템이 다루는 주요 주..
2023.11.11 -
HTTP 그리고 HTTP Methods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데이터(리소스)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규칙)이다. HTTP의 특징 TCP/ IP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토콜이다. HTTP는 각 요청이 독립적이며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무상태성 프로토콜이다. HTTP 메시지는 주로 텍스트 기반으로 구성되고,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식을 가지고 있다. HTTPS(HTTP Secure)를 통해 HTTP 통신을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호할 수 있다.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응답을 반환한다. HTTP의 구조 : HTTP는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요청과 응답 메시지로 구성되며,..
2023.11.07 -
REST API는 무엇인가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로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의 통신 역할을 한다. REST 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월드 와이드 웹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이다. REST API는 HTTP Method를 통해 통신하며 데이터 생성, 읽기, 업데이트, 삭제(CRUD)의 기능을 수행한다. RESTful API : REST의 설계 규칙을 잘 지켜서 만들어진 API REST의 특징 Server-Client(서버-클라이언트 구조) 자원을 가지고 제공하는 쪽이 Server,..
2023.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