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P] 인스턴스 그룹
2024. 11. 28. 20:02ㆍDevOps/Cloud Infra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oogle Cloud Platform, GCP)에서는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는데, 그 중 인스턴스 그룹은 특히 많은 사용자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인스턴스 그룹의 정의, 사용 용도, 장단점, 설정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스턴스 그룹
Compute Engine > 인스턴스 그룹
가상 머신(VM) 인스턴스를 한 곳에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능으로 관리형 인스턴스 그룹과 비관리형 인스턴스 그룹으로 나뉘어집니다.
🔎 관리형 인스턴스 그룹 (Managed Instance Group, MIG)
- 동일한 구성의 VM 인스턴스 여러 대 를 자동으로 생성, 배포, 관리하는 그룹
- 모든 인스턴스는 동일한 템플릿(이미지, 설정)을 기반으로 생성
👍 장점
- 자동화된 작업 지원
- Auto Scaling : 트래픽 변화에 따라 인스턴스 수 자동으로 조절, 트래픽 부하 분산
- Self-Healing : 헬스 체크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비정상적인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교체
- 헬스 체크
- HTTP, TCP, HTTPS 등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인스턴스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 롤링 업데이트
-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배포할 때 인스턴스를 점진적으로 업데이트
- 서비스 다운타임 최소화 할 수 있음
👎 단점
- 모든 인스턴스가 동일한 설정을 가져야 하므로, 개별 인스턴스의 맞춤 구성이 어려움
- 트래픽 급증 시 자동 확장으로 많은 인스턴스가 생성되며, 예상보다 높은 비용이 발생 할 수 있음
- 초기 설정과 관리가 다소 복잡
🔎 비관리형 인스턴스 그룹(Unmanaged Instance Group, UMG)
-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VM 인스턴스의 집합
- 주로 정적 트래픽을 처리하거나 다양한 구성의 인스턴스를 수동으로 관리할 때 사용
👍 장점
- 서로 다른 유형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등 각 인스턴스를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음
- 복잡한 템플릿 설계가 필요하지 않아 단순한 요구사항에 적합
👎 단점
- 자동화 기능 미제공
- 자동 확장 기능이 없어 트래픽 변화에 따라 인스턴스를 유동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움
- 대규모 트래픽 증가에 대응하려면 미리 리소스를 과잉 준비해야 하므로 비용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음
- 모니터링 도구 부족
- 인스턴스의 상태를 직접 모니터링하고 관리해야 하므로 운영 부담이 증가
- GCP의 Cloud Monitoring을 사용하면 모니터링이 가능하지만, MIG처럼 기본적으로 그룹 차원의 통합 모니터링 기능이 제공되지 않음
- 운영 복잡도 증가
- 동일한 작업을 여러 인스턴스에 걸쳐 반복적으로 적용해야 하므로 실수나 관리 부실 발생 가능
💡 정리
MIG, UMG의 선택 기준은 서비스의 특성인 것 같습니다. 제일 중요한건 트래픽!
쇼핑몰 같이 트래픽 변화가 크고 자동화가 필수인 고가용성이 중요한 서비스라면 MIG
배치 작업 처럼 고정된 환경이나 개별 맞춤 구성이 필요한 경우라면 UMG를 사용할 것 같습니다!
'DevOps > Cloud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P] VM 인스턴스 생성하기 (4) | 2024.11.28 |
---|---|
[AWS] Ubuntu 계정 생성하기 (1) | 2024.02.16 |
[AWS] EC2에 Mariadb 설치하기 (0) | 2024.02.16 |
[AWS] EC2에 JAVA 설치하기 (0) | 2024.02.16 |
[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0) | 2024.02.16 |